본문 바로가기
<Book>/<소설,에세이>

책 <구운몽>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by [SeMo] 2023. 9. 28.
반응형
728x170

김만중(지은이), 송성욱(옮긴이), 민음사(출판)

구운몽

"구운몽(九雲夢)"은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이 쓴 장편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1689년부터 1692년까지 쓰여졌으며, 조선 시대의 사랑과 성욕, 그리고 사회적 풍속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구운몽"은 교훈을 주는 이야기보다는 사람들의 사랑과 욕망에 초점을 맞추어, 그 당시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작품은 또한 조선 중기의 사회와 생활을 현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어, 이 시대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꼽히기도 합니다.

"구운몽"의 주요 인물은 부유한 양반인 이성진과 그의 아내인 서월이입니다. 이성진은 아름다운 여성들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여러 차례로 사랑과 욕망의 충돌로 고통받게 됩니다. 반면에 그의 아내 서월이는 남편의 불성실함에 대해 실망하고 고민하게 됩니다.

이 작품은 이들의 갈등과 사랑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를 통해 당시 조선 사회의 부패와 인간 본성의 복잡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이 작품은 사랑과 욕망, 그리고 사회적 규범 사이의 충돌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인생의 복잡성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구운몽"은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소설 중 하나로 꼽히며, 그 독특한 내용과 스타일로 인해 한국 문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줄거리

"구운몽"은 부유한 양반인 이성진의 삶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이성진은 아름다운 여성들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어,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의 이런 성격은 여러 차례의 충돌과 고통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성진의 아내 서월이는 남편의 불성실함에 대해 실망하고 고민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녀는 사회의 기대와 규범에 따라 이성진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이성진의 변함없는 행동에도 불구하고 서월이가 그를 사랑하는 것을 막지 못합니다.

이성진은 부부의 행복을 꿈꾸지만, 그의 성욕은 그를 다른 여성들에게 이끕니다. 그는 이런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다양한 여성과의 관계를 탐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그는 여러 번의 위험과 갈등을 겪게 됩니다.

이성진의 이러한 행동은 그의 가정생활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그의 아내 서월이를 크게 상처주게 됩니다. 이성진은 이러한 행동이 자신의 가정과 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이성진은 그의 성욕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그의 행동이 자신과 그의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는 이런 부정적인 영향을 경험하면서도 그의 욕망을 억제하지 못합니다.

이 작품은 이성진의 이러한 내면의 갈등과 그의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당시 조선 사회의 부패와 인간 본성의 복잡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합니다.

이 작품의 끝부분에서 이성진은 그의 행동이 자신과 그의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깨닫게 됩니다. 이성진은 그의 욕망을 억제하고 가정에 더 집중하려는 노력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결국 그의 성격을 바꾸지 못하고, 그는 다시 그의 욕망을 추구하게 됩니다.

"구운몽"은 이런 이성진의 내면의 갈등과 그의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조선 시대의 사회, 특히 성욕과 가정생활에 대한 복잡한 문제를 탐구합니다.

 

반응형

저자 "김만중"

김만중

김만중(金萬中)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문신 및 문학가로, 자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 시호는 문효(文孝)입니다. 그는 1665년(현종 6)에 정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정언(正言)과 수찬(壽春)을 역임한 경력이 있습니다. 1671년에는 암행어사가 되어 경기 지방과 삼남 지방의 민정을 감독하였고, 1675년(숙종 1)에는 관작이 삭탈될 때까지 헌납(獻納)·부수찬(副首贊)·교리(校理) 등의 직책을 맡았습니다.

1679년(숙종 5)에는 다시 등용되어 예조참의(禮曹參議)·공조판서(工曹判書)·대제학(大提學)·대사헌(大司憲) 등의 직책을 역임하였습니다. 그러나 장숙의 일가를 둘러싼 언사 사건에 연루되어 선천(善川)으로 유배되었습니다. 1688년(숙종 14)에 풀려났지만, 다시 탄핵을 받아 남해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구운몽》을 저술한 뒤 병사하였습니다.

김만중은 시문에도 뛰어났으며, 부유한 가문에 태어나 효성(孝性)이 지극한 인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머니인 윤씨를 위로하기 위해 국문 소설을 많이 썼다고 전해지며, 알려진 작품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뿐입니다. 《구운몽》은 전문을 한글로 집필한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꼽히며, 특히 그 구성은 선계(仙界)와 현실계(現實界)의 이중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며, 불교적인 인생관을 형상화하였습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서포집》, 《서포만필》, 《고시선》 등이 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

"구운몽"을 읽고 나서 나는 많은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이 작품은 성욕과 사랑, 그리고 그 두 가지가 충돌할 때 인생이 얼마나 복잡해질 수 있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있다. 이성진의 캐릭터는 인간의 본질적인 욕망과 그것이 어떻게 사회적인 규범과 충돌하며 개인의 삶을 어렵게 만드는지를 보여주는, 인간 본성의 한면을 잘 보여주는 캐릭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 작품을 읽으면서 나는 이성진의 행동에 종종 분노하게 되었다. 그의 불성실하고 자기 중심적인 행동이 그의 가족과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얼마나 상처주는지를 보면서, 나는 이성진에게 공감하기 어려웠다. 물론, 그는 작품의 매력적인 주인공이지만, 그의 행동은 나에게 자주 불편함을 줬다.

그리고 나는 서월이에게 깊은 동정심을 느꼈다. 그녀는 사랑하는 남편에게 계속 실망하고 고통받지만, 그녀는 그를 변화시키려고 계속 노력한다. 그녀의 헌신적인 사랑과 인내력은 감동적이었지만, 그녀의 상황은 그녀가 겪는 고통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팠다.

또한, "구운몽"을 읽으면서 나는 그 시대의 사회적인 기대와 가치,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개인의 삶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이성진의 행동은 그의 개인적인 선택이지만, 그것은 그의 사회적 환경과 교육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구운몽"은 인간의 복잡성과 인생의 어려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나는 우리 모두가 우리의 욕망과 사회적 규범 사이에서 갈등하고, 그 갈등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복잡하게 만드는지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