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소설,에세이>

책 <프랑스어의 실종>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by [SeMo] 2023. 9. 10.
반응형
728x170

아시아 제바르(지은이), 장진영(옮긴이), 을유문화사(출판)

프랑스어의 실종

아시아 제바르(Algerian-born French author Assia Djebar)의 "프랑스어의 실종(La Disparition de La Langue Francaise)"은 프랑스와 북아프리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다루며, 특히 프랑스어와 아라비아어 사이의 언어적, 문화적 갈등을 탐구한 작품입니다.

책의 주요 테마는 기억, 언어, 그리고 아이덴티티입니다. 이 작품은 개인적인 역사와 국가의 역사,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바르는 자신의 두 언어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아라비아어와 프랑스어 사이의 괴리와 그 둘 사이의 갈등을 표현합니다.

책의 중심인 물주는 알제리와 프랑스를 오가며, 두 문화와 언어 사이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작품은 이러한 복잡한 감정들과 더불어 알제리의 국가적 역사와 프랑스 식민지주의의影響을 함께 조명하면서 독자에게 깊은 고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시아 제바르는 이 작품을 통해 개인의 기억과 국가의 역사, 그리고 언어와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공유합니다. "프랑스어의 실종(La Disparition de La Langue Francaise)"은 언어, 문화, 그리고 아이덴티티에 관한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하는 작품으로, 프랑스와 북아프리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리소스입니다.

 

줄거리

물주인 세이무드는 프랑스어 교사로서 알제리의 학교에서 일하며 그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갈등을 겪습니다. 프랑스어는 세이무드에게 어린 시절의 기억과 프랑스 교육을 받았던 시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아라비아어는 그의 뿌리와 국적을 상징합니다. 세이무드는 두 언어와 문화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합니다.

어린 시절, 세이무드는 프랑스 교육을 받으면서 프랑스 문화와 언어에 친숙해졌습니다. 그러나 알제리의 독립 전쟁이 시작되면서 그의 삶은 크게 흔들리게 됩니다. 이 전쟁은 세이무드의 가족과 친구들을 데리고 가고, 그를 언어와 문화의 교차점에 던져놓습니다.

알제리 독립 전쟁 중, 세이무드의 가족 중 일부는 전쟁의 희생자가 되었고, 그의 친구들 중 일부는 반란군에 합류하여 싸웠습니다. 이 시기, 세이무드는 알제리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과 프랑스 문화에 대한 그의 애정 사이에서 갈등을 느낍니다.

전쟁이 끝나고 나서 세이무드는 프랑스로 이동하여 교육을 계속합니다. 프랑스에서의 그의 생활은 그를 더욱 프랑스 문화와 가깝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그의 고향 알제리와의 거리를 더 멀게 만들었습니다.

세이무드가 알제리로 돌아오면, 그는 자신의 국가에서 프랑스어 교사로 일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는 아라비아어를 사용하는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의 프랑스어 교육과 그의 알제리 뿌리 사이에서의 갈등은 점점 심화됩니다.

세이무드는 두 언어와 문화 사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여러 인물들과의 대화를 통해 깊은 성찰을 시작합니다. 그의 친구들, 동료들, 그리고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세이무드는 자신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복잡한 관계를 재평가하기 시작합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세이무드는 그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갈등을 극복하고, 자신의 두 배경을 모두 포용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냅니다.

작품은 세이무드의 개인적인 여정을 통해 알제리와 프랑스 사이의 복잡한 관계와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탐구합니다.

저자 "아시아 제바르"

Assia Djebar

아시아 제바르(Assia Djebar)는 1936년 알제리에서 태어난 작가로, 본명은 파티마-조흐라 이말라옌(Fatima-Zohra Imaly?ne)이었습니다. 그녀는 알제리의 역사적인 변화와 여성의 역할에 대한 주제를 다루며 문학 작품을 통해 알제리 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입장을 탐구한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 제바르는 초등학교 교사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프랑스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 결과, 일찍 결혼하지 않고 프랑스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1953년에 알제리 여성으로서 최초로 세브르 여자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하여 역사를 공부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이슬람 학생 운동에 참여하여 시험을 보지 않아 퇴학당했습니다. 이때 '아시아 제바르'라는 필명을 처음 사용하며 첫 소설인 『갈증(La Soif)』(1957)을 발표했습니다.

제바르의 작품은 이슬람과 여성의 역할, 알제리 현대사 등을 다루며 그녀 자신의 경험과 사회적 관심사를 반영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프랑스어로 쓰여졌으며, 현대 아랍 여성 작가들 중에서도 독특한 목소리를 지닌 작가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녀는 문학 작품 외에도 영화에도 관심을 가지며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고, 그 중 <슈누아산 여인들의 누바(La Nouba des Femmes du Mont Chenoua)>와 <제르다 혹은 망각의 노래들(La Zerda ou les chants de l’oubli)>은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입니다.

1980년대에는 단편집 『그들 거처 안의 알제 여인들(Femmes d’Alger dans leur appartement)』을 시작으로 다시 문학적 활동을 활발히 이어갔으며, 이후에도 다양한 소설과 에세이를 발표하며 여성의 문제와 알제리의 역사 등에 대한 개인적인 관점을 표현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페미니즘적인 시각과 함께 문화적, 정치적 측면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아시아 제바르는 여러 작품을 통해 알제리 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문화적 복잡성 등을 다루며 세계 각국에서 사랑과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2005년에 마그레브 지역의 작가로서 프랑스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20개국 이상에서 번역되어 출간되었습니다. 2015년에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지만, 그녀의 문학적 유산은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

"프랑스어의 실종(La Disparition de La Langue Francaise)"을 읽으면서, 저는 언어와 문화가 개인의 아이덴티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세이무드의 삶을 통해 볼 때, 그가 두 언어와 문화 사이에서 겪는 갈등은 그의 내적인 싸움의 상징이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감정들은 제 자신의 삶과도 관련이 있음을 느꼈습니다, 특히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세이무드가 그의 언어와 문화, 그리고 그의 뿌리와 교육 사이에서의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면서, 저는 언어와 문화가 얼마나 깊은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깊게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또한, 알제리와 프랑스 사이의 복잡한 역사와 그 관계가 어떻게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면서, 국가와 개인의 역사 사이의 괴리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세이무드의 개인적인 경험이 그의 국가의 역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면서, 제 자신의 삶과 내가 속한 국가와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또한 언어와 문화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들이 우리의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프랑스어의 실종(La Disparition de La Langue Francaise)"은 언어와 문화, 그리고 아이덴티티에 관한 깊은 고찰을 제공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리소스라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은 저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제 생각과 태도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습니다.


책 더보기

 

 

[SeMo] 세상의 모든 책

세상의 다양한 책을 소개합니다. 1일1책 세모SeMo

whatmoney1.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