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소설,에세이>

책 <주홍 글자>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by [SeMo] 2023. 5. 7.
반응형
728x170

저자 너새니얼 호손 , 출판 열린책들


<주홍 글자>

《주홍 글자》(The Scarlet Letter)는 너새니얼 호손(Nathaniel Hawthorne)이 1850년에 발표한 미국 고전소설로, 17세기 말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엄격한 퓨리탄 사회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은 주인공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이 부정한 사랑으로 잉태하고 남편을 기다리며 아이를 낳게 된 것을 시작으로 전개됩니다. 헤스터는 이 사건으로 공개적으로 낙인찍히게 되며, 그녀의 가슴에는 주홍색으로 새겨진 영문자 'A'(Adultery)를 항상 착용하게 됩니다. 헤스터는 딸 펄(Pearl)과 함께 견디기 힘든 외딴 삶을 살아가며, 사회의 따돌림과 비난을 극복해 나갑니다.

작품은 죄와 참회, 정체성의 탐색, 개인과 사회의 충돌 등 인간의 복잡한 정서와 고뇌를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당시의 사회와 도덕적 가치관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미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줄거리>

'주홍 글자'는 17세기 말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엄격한 퓨리탄 사회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헤스터 프린이라는 여성의 삶을 그린 작품입니다. 헤스터는 남편 로저 칠링워스와 해외에서 결혼한 후 뉴월드로 떠나 남편을 기다리던 중, 부정한 사랑으로 임신하게 됩니다. 임신 사실이 드러나자, 헤스터는 공개적인 재판을 받게 되며, 딸 펄을 낳게 됩니다.

헤스터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지만, 아버지의 이름은 밝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헤스터는 간음죄를 저지른 것을 상징하는 주홍색 글자 'A'를 가슴에 달고 평생 착용해야 하는 벌을 받게 됩니다. 헤스터는 딸 펄과 함께 외딴 오두막에서 살며, 동네 사람들로부터 따돌림과 비난을 받습니다.

한편, 헤스터의 남편 로저 칠링워스는 선원들과 함께 마을로 돌아오게 되지만, 자신의 아내가 벌을 받고 있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습니다. 그는 복수를 결심하고 의사로 위장하여 마을에서 살기 시작합니다. 그의 목표는 헤스터와의 부정한 사랑으로 아이를 낳은 남자를 찾아 복수하는 것입니다.

로저는 아버지의 정체를 알아내고자 기회를 엿보며, 아서 딤스데일 목사와 가까워집니다. 아서 목사는 양심의 가책으로 괴로워하며, 사람들로부터 경외감을 받으며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목사의 건강은 점점 악화되고, 로저는 그의 고통을 즐기며 복수를 계획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헤스터는 자신과 딸을 위해 손재주를 살려 자수 작품을 만들며 생계를 유지합니다. 그녀는 사회적인 따돌림 속에서도 독립적인 정신과 인내심을 발휘하며 차츰 마을 사람들의 존중을 얻기 시작합니다.

아서 목사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싶어지지만, 공개적으로 말하기에는 두려움이 큽니다. 그러던 어느 날, 헤스터와 아서는 숲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고,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 후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들은 함께 유럽으로 도망가기를 계획하지만, 로저 칠링워스는 이 계획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그 사이, 펄은 자라며 어미와 함께 겪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며 헤스터의 힘이 되어줍니다. 그러나 그녀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그림자처럼 여겨지며, 어머니의 죄와 관련된 불편한 질문들로 시달립니다.

결국, 아서 목사는 마을 사람들이 모인 연례 축제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가슴에 새겨진 주홍색 'A'를 드러내며 쓰러진 후 숨을 거둡니다. 그의 죽음에 충격받은 로저 칠링워스는 복수심에서 해방되고, 곧이어 병으로 세상을 떠납니다.

아서 목사의 죽음 후, 헤스터와 펄은 유럽으로 떠나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헤스터는 결국 고향으로 돌아와 외딴 오두막에서 남은 삶을 보냅니다. 그녀는 주홍색 'A'를 착용한 채 삶의 끝을 맞이하게 되며, 아서 목사와 함께 같은 묘지에 묻힙니다.

이 작품은 죄와 참회, 개인의 정체성 탐색, 사랑과 용서의 힘 등 여러 가지 주제를 다루며, 독자들로 하여금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도덕적 가치에 대해 성찰하게 합니다. 또한 당시의 사회와 도덕적 가치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 미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


저자 "너새니얼 호손"

Nathaniel Hawthorne

너새니얼 호손은 1804년에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청교도 집안 출신으로 원래 성은 헤이손(Hathorne)이었지만, 조상인 윌리엄 헤이손이 퀘이커 여신도들을 학대한 것을 수치로 여겨 호손 본인이 성에 'w'자를 추가한 호손(Hawthorne)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호손은 학창 시절에는 학업에서는 뛰어나지 않았지만 미국 문화 창조에 대한 야망을 품고 열심히 집필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대학을 졸업한 후 12년간 자기 방에서 독서와 습작에 매진하며 뉴잉글랜드 지방의 청교도적인 배경과 그 정신적 기질을 탐구해 자신 속에 있는 청교도 정신에 대한 비판 정신을 길러냈습니다. 호손의 첫 소설인 "팬쇼"는 1828년에 익명으로 출판되었지만 미숙한 작품이라는 판단에 호손이 모두 파기해 버렸습니다. 이후에는 주로 익명이나 가명으로 신문, 잡지 등에 단편을 기고했습니다.

1837년에는 12년간 은둔 생활 동안 썼던 단편들을 모은 "두 번 하는 이야기들"을 출판하여 문학계에서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후 호손은 "주홍 글자", "일곱 박공의 집", "블라이드데일 로맨스", "눈사람과 다른 두 번 하는 이야기들"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문학적,재정적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호손은 1857년에 유럽을 여행한 후 1860년에 귀국하여 웨이사이드에서 작품을 집필하며 영국의 풍경과 생활 풍습 등을 스케치풍으로 그린 작품들을 발표하며 호평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창작력과 건강이 쇠퇴해 1864년 뉴햄프셔에서 객사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 점>

인간 본성과 죄의 문제: 이 작품을 통해 독자들은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과 죄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습니다. 헤스터, 아서, 로저의 인물들은 인간의 죄와 죄에 대한 처벌, 참회와 용서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제공합니다.

개인과 사회의 충돌: 헤스터의 이야기는 개인과 사회 간의 갈등을 잘 보여줍니다. 작품 속 엄격한 퓨리탄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표현을 억압하며, 죄에 대한 혹독한 처벌을 내립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 찾기와 사회의 기대와의 갈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여성의 역할과 독립 정신: 헤스터는 시대를 초월한 여성의 역할과 독립 정신을 상징합니다. 그녀의 인내와 용기, 자신과 딸을 위해 삶을 이어가는 끈기는 여성의 강인함과 지지 않는 정신력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여성의 역할과 그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습니다.

사랑과 용서의 힘: 《주홍 글자》에서는 사랑과 용서의 중요성과 강인함이 강조됩니다. 헤스터와 아서의 사랑은 시련을 견디며 성장하고, 결국 그들은 용서를 통해 구원을 찾게 됩니다. 이를 통해 사랑과 용서의 가치와 힘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문학적 표현: 나타니얼 호손의 서사 기술과 문학적 표현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작품 속의 상징, 은유, 그리고 인물간의 관계는 독자들에게 감동과 공감을 선사하며, 미국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