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o] 세상의 모든 책
세상의 다양한 책을 소개합니다. 1일1책 세모SeMo
whatmoney1.tistory.com
<이중나선>
"이중나선"은제임스 D. 왓슨이 쓴 과학자의 회고록으로, 1953년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한 과정을 다룹니다. 왓슨은 이 작업에서 프란시스 크릭과 함께 작업했으며, 이 두 과학자는 이 발견으로 인해 1962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책은 연구 과정에서의 경쟁, 협력, 통찰력, 헌신 등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며, 독자들에게 과학사에 있어 혁명적인 발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왓슨의 이야기는 또한 과학자들의 인간성과 열정을 부각시키며, DNA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그들의 끊임없는 탐구를 전달합니다.
<줄거리>
"이중나선"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한 과정에 관한 제임스 D. 왓슨의 회고록입니다. 이 책에서 왓슨은 자신과 프란시스 크릭이 DNA 구조를 찾아내기 위해 겪은 여러 시행착오, 실험, 경쟁, 그리고 협력을 설명합니다.
책의 시작부분에서 왓슨은 케임브리지 대학의 케이블랜드 연구소에 입성하게 되어 DNA 구조 연구에 참여하게 된 배경을 소개합니다. 이어 크릭과 만나 함께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 이야기를 전합니다.
왓슨과 크릭은 DNA 구조를 밝히려는 동안 런던의 킹스 칼리지에 근무하던 로잘린드 프랭클린 및 모리스 윌킨스와 경쟁 관계에 놓이게 됩니다. 프랭클린의 X선 회절 사진이 결국 왓슨과 크릭의 연구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지만, 이 과정에서 그들의 관계는 매우 긴장감이 높아집니다.
책에서 왓슨은 DNA 모델링 작업에 관한 실험과 연구 과정을 자세하게 소개합니다. 그들은 이 과정에서 리누스 폴링과 함께 헬릭스 구조를 제안했으며, 이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집니다. 왓슨과 크릭은 그들의 모델에 기반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울입니다.
왓슨은 또한 그들의 발견이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설명합니다. 이들은 에로윈 쇼고프, 조시아 리눅스, 루처 리키, 알프리드 허시 등 다양한 과학자들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결국 왓슨과 크릭은 프랭클린의 X선 회절 사진을 분석하고, 워싱턴 대학의 조차 윌킨스의 도움을 받아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 발견은 생물학에 혁명을 일으키며, 유전자에 대한 이해를 혁신적으로 바꿉니다.
책의 후반부에서 왓슨은 이 발견 이후의 시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와 함께, 아덴신, 티민, 구아닌, 시토신이라는 4개의 염기 쌍이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유전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을 밝혀냅니다. 이 발견은 미래의 유전학 연구와 응용 분야에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그들의 연구 결과는 1953년에 "Nature"지에 발표되며, 과학계의 관심을 끌게 됩니다. 이후 왓슨과 크릭은 그들의 발견에 대한 인정을 받게 되며, 1962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1958년에 사망하여 노벨상을 받지 못했지만, 그녀의 기여도 후에 깊이 인정받게 됩니다.
왓슨의 회고록은 단순한 과학적 발견의 과정을 넘어서, 연구자들의 인간적 측면, 감정, 열정, 그리고 경쟁을 보여줍니다. 이 책은 과학자들이 어떻게 협력과 경쟁을 통해 지식을 발전시키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혁신적인 발견의 뒤에 있는 노력과 인내를 강조합니다.
저자 "제임스 D. 왓슨"
James Dewey Watson은 1928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 1947년 시카고 대학교를 졸업한 후 1950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파지 유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195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며, 프랜시스 크릭과 만나 DNA의 이중 나선 모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1953년에 이에 대한 논문을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은 매우 중요한 과학적 발견으로 평가되어, 1962년 크릭, 모리스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Watson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며,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소장으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분자유전학, 그리고 단백질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유전자, 여자, 가모브, DNA를 향한 열정, 그리고 지루한 사람과 어울리지 마라 등의 책을 지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 점>
과학의 인간적 측면: 이 책은 과학의 발전이 단지 냉철한 사실과 이론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과학자들의 인간성, 열정, 협력, 경쟁 등의 요소가 얽혀 있는 복잡한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혁신적 발견의 과정: DNA의 이중 나선 구조 발견은 생물학과 유전학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책을 통해 혁신적 발견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시련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경쟁과 협력의 역할: 왓슨과 크릭의 연구는 다른 연구자들과의 경쟁과 협력 속에서 발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과학의 세계에서 경쟁과 협력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며,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발견으로 이어지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이 책은 과학자가 아닌 일반 독자들에게도 복잡한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SeMo] 세상의 모든 책
세상의 다양한 책을 소개합니다. 1일1책 세모SeMo
whatmoney1.tistory.com
'<Book>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79) | 2023.05.17 |
---|---|
책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삶>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31) | 2023.04.28 |
책 <양육쇼크>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47) | 2023.04.07 |
책 <퀀텀 유니버스>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8) | 2023.03.29 |
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21)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