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소설,에세이>

책 <나의 미카엘>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by [SeMo] 2023. 9. 27.
반응형
728x170

아모스 오즈(지은이), 최창모(옮긴이), 민음사(출판)

나의 미카엘

"나의미카엘(My Michael)"은 이스라엘의 유명 작가 아모스 오즈가 1968년에 쓴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1950년대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을 배경으로, 한 여성의 입장에서 그녀의 결혼생활과 개인적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소설의 주인공인 한나 그리너는 1950년대 예루살렘에 살고 있는 젊은 여성입니다. 그녀는 역사를 공부하는 대학생으로, 자신의 남편 마이클 그리너와의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나의 내면은 그녀의 외부 세계와는 대조적으로 혼란스럽고 복잡합니다. 그녀는 남편 마이클에게 정서적으로 소외되어 있음을 느끼며, 또한 두 명의 어린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의 역할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한나는 그녀의 꿈과 희망, 그리고 그녀의 남편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합니다.

"나의 미카엘(My Michael)"은 오즈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섬세한 문체와 깊이 있는 인간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여성 주인공의 관점에서 그려진 이 이야기는 개인적인 갈등과 사회적 문제, 그리고 성별 역할에 대해 독특하게 탐구합니다. 이 작품은 오즈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읽혀지고 있습니다.

 

줄거리

"나의 미카엘(My Michael)"은 1950년대 예루살렘에서 살아가는 한 여성인 한나 그리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한나는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며 자신의 남편 마이클 그리너와 아이 둘을 키우는 평범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한나는 처음 마이클을 만났을 때 그의 심지어는 가벼움에 이끌려 그와 결혼하지만, 결혐생활이 진행됨에 따라 그녀의 생활은 점점 힘겹게 느껴집니다. 그녀는 두 아이를 키우는 동안 남편 마이클은 거의 집에 없으며, 그녀의 외로움과 고립감은 점점 커져갑니다.

한나는 이외로움을 채우기 위해 과거로 돌아가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합니다. 그녀는 아름다운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외로운 삶과를 비교하며 점점 더 허무해집니다. 한나는 또한 자신의 남편에 대한 이해도를 깨닫고, 그가 자신의 정서적인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을 절망적으로 인지하게 됩니다.

그녀의 고립감은 점점 심화되어 그녀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그녀는 이를 이겨내기 위해 과거의 판타지를 상상하게 됩니다. 그녀는 청소년기의 두 명의 젊은 남성 친구, 야니와 테디에 대한 기억에 점점 더 몰입하게 되며, 이는 현실과 판타지 사이에서 그녀를 더욱 고립시킵니다.

한나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어 가는데, 이러한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은 1956년의 수에즈 위기로 인해 마이클이 군에 소집되는 사건입니다. 이것은 그녀를 더욱 깊은 절망 속으로 빠트리며, 그녀는 결국에는 심각한 정신적 붕괴를 겪게 됩니다.

"나의 미카엘(My Michael)"은 한나의 심리적 고통과 그녀의 상상력이 만나 현실과 판타지가 점차 혼합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는 사랑, 결혼, 그리고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실제 경험 사이의 괴리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며, 이스라엘 사회의 중요한 변화와 개인의 정신적 충돌을 묘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저자 "아모스 오즈"

Amos Oz

아모스 오즈(Amos Oz)는 이스라엘의 작가이자 언론인입니다. 본명은 아모스 클라우스너(Amos Klausner)였으며, 1939년 동유럽에서 이주한 우파 시온주의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열다섯 살 때 집을 떠나 키부츠 훌다에 들어가면서 성을 '오즈'로 바꾸었는데, 이는 히브리어로 '힘'을 의미합니다. 그 후 약 30년 동안 이곳에서 글쓰기, 농사일, 교사 일을 병행하며 지냈습니다.

오즈는 이스라엘에서 현대 히브리어를 모어로 사용한 첫 번째 세대였습니다. 1965년 소설집 『자칼의 울음소리』로 데뷔하여 해외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1968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나의 미카엘』은 대중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오즈는 『블랙박스』, 『여자를 안다는 것』, 『지하실의 검은 표범』,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숲의 가족』, 『친구 사이』 등의 작품으로 이스라엘 현대사, 관용과 다양성의 존중, 인간에 대한 이해와 통찰, 광신주의와 폭력의 배격, 타자와의 소통과 평화 등의 주제를 간결하면서도 사색적인 문체로 표현하여 현대 히브리 문학의 거장으로 세계적인 독자들의 사랑과 지지를 받았습니다. 그는 노벨문학상 후보로 여러 차례 올랐으며, 비알리크상(1986), 페미나상(1988), 이스라엘상(1998), 괴테상(2005), 프란츠카프카상(2013), 박경리문학상(2016), 톨스토이상(2018) 등 세계적인 문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오즈는 1967년 6일전쟁에 참전한 이후로 계속해서 '두 국가 해결책'을 주장하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갈등을 종식시키고자 노력했습니다. 1977년부터 평화 단체 '샬롬 아흐샤브(Peace Now)'를 이끌었는데, 그는 조국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면서도 아랍 국가들과의 평화 공존을 주장하여 이스라엘 내외에서 '배신자'로 비난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평생을 글로써 행동하는 '침묵하지 않는 작가'였습니다. 2018년 오즈는 79세에 별세하였으며, 그의 유해는 키부츠 훌다에 묻혔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

"나의 미카엘(My Michael)"을 읽고 나서 저는 여러 가지 감정과 생각들이 머릿속에서 뒤섞였습니다. 이 작품은 한 여성의 심리를 깊이 있고 솔직하게 드러내며, 그녀의 결혼생활, 모성, 그리고 외로움에 대한 경험을 섬세하게 그려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저는 한나의 캐릭터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그녀의 고립감과 외로움, 그리고 그녀의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불만족은 많은 여성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이었습니다. 아모스 오즈는 한나의 심리를 정확하고 생생하게 그려내며 저에게 공감의 감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편으로, 한나의 과거를 회상하며 만들어가는 판타지 세계는 독특하고 매력적이었습니다. 이는 그녀의 현실에서의 고통을 완화시키는 방법이었지만, 동시에 그녀를 현실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감정의 교차는 저에게 많은 사색을 주었습니다.

더불어, 이 작품은 1950년대 이스라엘 사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어, 이 시대의 문화와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역사와 그 시대의 여성들이 겪었던 경험들을 통해, 이 작품은 더욱 깊은 차원의 이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즈의 서사는 깊이 있고 감동적이었습니다. 그의 탁월한 문체와 섬세한 감정 묘사는 이 작품을 더욱 인상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 작품을 통해 결혼생활, 여성성, 그리고 사랑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나의 미카엘(My Michael)"은 저에게 깊은 감동과 함께 많은 생각을 주는 작품이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