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
에밀졸라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대표적인 실제주의 작가로, 그의 작품은 사회적 문제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관찰을 통한 비판적 접근으로 유명합니다. "꿈(Le Rêve)"은 그의 작품 중 하나로, 1888년에 출간되었습니다.
"꿈(Le Rêve)"은 에밀 졸라의 20부작 "Rougon-Macquart" 시리즈의 일부로, 이 시리즈는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다양한 층을 탐구합니다. 다만 "꿈(Le Rêve)"은 이 시리즈 중에서도 비교적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작품들이 주로 사회적 또는 정치적 문제에 중점을 둔다면, "꿈(Le Rêve)"은 더욱 로맨틱하고 꿈틀거리는 분위기를 지닌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고아인 앙쥴리크와 교회의 종 베르테와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앙쥴리크는 자신의 과거와 출신에 대한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 베르테에게 발견되고 그의 보호 아래에서 성장하게 됩니다. 그녀는 고대 성인 전설에 매료되며, 그런 전설 속에서 자신의 사랑 이야기를 꿈꾸게 됩니다.
졸라는 이 작품에서 사랑, 믿음, 그리고 꿈에 대한 깊은 탐구를 진행하며, 로맨틱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읽는 이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꿈(Le Rêve)"은 졸라의 다른 작품들과는 다른 특별한 감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줄거리
"꿈(Le Rêve)"은 에밀 졸라의 실제주의 작품 중에서도 독특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의 많은 작품들이 사회의 불평등이나 부패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둔 반면, 이 작품은 순수한 사랑과 꿈, 그리고 믿음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합니다.
앙쥴리크는 어릴 때부터 교회에서 보내는 시간을 사랑하며, 성인 전설과 이야기에 몰두하게 된다. 그녀의 생애는 전설의 주인공처럼 전개되는 것을 꿈꾸며, 그런 꿈 속에서 자신의 인생과 사랑을 발견하게 된다.
베르테는 교회의 종으로, 앙쥴리크를 발견하고 그녀의 보호자가 된다. 그는 또한 앙쥴리크에게 그녀의 과거와 가족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는 사람이기도 하다.
두 사람 사이에는 순수하고 깊은 감정의 유대가 형성되지만, 그들의 관계는 사회적인 장벽과 교회의 규칙, 그리고 앙쥴리크의 과거와 관련된 문제들로 인해 복잡해진다.
앙쥴리크는 성안젤로스와 성 가브리엘, 그리고 성녀 아그네스와 같은 성인들의 전설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그녀는 자신의 사랑 이야기도 이러한 전설처럼 순수하고 아름답게 전개되기를 바란다.
앙쥴리크와 베르테 사이의 관계는 사회적인 계급과 교회의 규칙에 의해 시험을 받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사랑과 믿음을 통해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앙쥴리크의 과거와 그녀의 가족에 대한 진실이 밝혀진다. 이로 인해 그녀는 자신의 정체성과 그녀가 지향하는 꿈과 사랑에 대한 믿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작품의 끝에서는 앙쥴리크와 베르테 사이의 사랑이 꿈과 현실 사이에서 어떠한 결론을 맞이하는지가 묘사된다.
졸라는 이 작품을 통해 순수한 사랑, 믿음, 그리고 꿈에 대한 깊은 탐구를 제공한다. 그는 사회의 장벽과 교회의 규칙, 그리고 인간의 과거와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넘어서는 사랑의 힘을 강조한다.
이 작품은 에밀 졸라의 실제주의 작품 중에서도 로맨틱하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지니고 있어, 많은 독자들에게 다양한 감동과 공감을 선사한다.
저자 "에밀 졸라"
에밀 졸라(Emile Edouard Charles Antoine Zola)는 19세기 프랑스의 작가로, 자연주의 문학의 선두주자이며 사회적 정의와 인간의 복잡한 삶을 다룬 작품으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1840년 파리에서 태어난 졸라는 어려서부터 가난한 환경에서 자라다가 파리로 이주하여 학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대학입학에 실패한 후 출판사에서 일하며 작가와 기자들과 교류하며 문학적인 경험을 쌓았습니다. 그의 문학적 활동은 1867년 소설 "테레즈 라캥"으로 시작하여 점차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목로주점"과 "제르미날"이 있습니다. "목로주점"은 서민과 빈민층의 삶을 현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그의 소설 중에서도 사회적 문제와 계급 간의 대립을 다룬 첫 번째 소설로 평가되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입니다. "제르미날"은 프랑스 북부 탄광의 노동자들의 파업을 소재로 하여 노동과 자본 간의 대립, 계급 투쟁을 현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졸라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평가되며 그의 사회 정의에 대한 신념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졸라는 "루공 마카르 총서"라는 대규모 시리즈를 통해 프랑스 사회의 다양한 측면과 역사적 변화를 묘사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현실적인 사회 문제와 더불어 인간의 복잡한 심리와 윤리적인 고민을 다루었습니다. 그의 문학적 영향은 프랑스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크게 미치며, 그의 작품은 현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
"꿈(Le Rêve)"을 읽으며, 나는 에밀 졸라의 작품 중 이만큼이나 깊은 감정의 세계를 탐험한 작품이 또 있을까 생각했다. 그의 다른 작품들이 사회적 문제나 인간의 탐욕을 중심으로 한 반면, 이 작품은 순수한 사랑과 꿈, 그리고 믿음의 힘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앙쥴리크의 캐릭터를 통해 나는 자신의 꿈을 꾸며, 그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과 희망, 그리고 그것을 방해하는 여러 장애물들에 대해 깊게 생각해볼 기회가 있었다. 그녀의 순수한 마음과 믿음은 때로는 현실의 잔인함과 마주하며 시련을 겪지만, 그녀의 내면의 힘과 믿음은 그녀를 끝까지 지탱하게 했다.
베르테와의 관계는 사회적 장벽, 교회의 규칙, 그리고 그들의 개인적인 과거와 같은 여러 장애물에 직면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그런 장애물들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의 사랑 이야기는 나에게 사랑의 순수함과 그것이 극복할 수 있는 힘에 대한 깊은 믿음을 주었다.
졸라의 서술 방식은 세밀하고 생생하며, 그의 글을 통해 19세기 프랑스의 교회와 사회의 모습, 그리고 그 시대의 사랑과 믿음에 대한 관점을 명확하게 볼 수 있었다.
"꿈(Le Rêve)"은 나에게 꿈과 현실, 그리고 그 둘 사이의 긴장감에 대해 깊게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했다. 그것은 사랑과 믿음, 그리고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이었다.
[SeMo] 세상의 모든 책
세상의 다양한 책을 소개합니다. 1일1책 세모SeMo
whatmoney1.tistory.com
'<Book> > <소설,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아메리카의 나치 문학>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60) | 2023.09.08 |
---|---|
책 <라이겐>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57) | 2023.09.08 |
책 <골짜기의 백합>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52) | 2023.09.08 |
책 <천사의 음부>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53) | 2023.09.08 |
책 <왕자와 거지> 소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55) | 2023.09.08 |
댓글